본문 바로가기
가벼운 미디어 정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희귀혈전증 사망 인과성 인정

by 모두의 라이프 2021. 6. 21.

■ 30대 접종자 희귀 혈전증으로 사망

 

■ 21일 코로나 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서 희귀 혈전증과 인과성 인정! 

 

■ 이대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해도 되는 것일까? 

 

■ 코로나 치료제 제조는 불가능한 것인가? 

 

 

★코로나 백신 접종 이후 이상 징후 체크 

1) 심한 두통과 구토 증상

2) 진통제 효과 없을 경우

3) 호흡곤관, 팔 다리 부기 발생

4) 접종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멍이 보일 경우 

** 즉시 의료기간에 진료 받아야 합니다.

우리의 생명을 스스로 지켜야 합니다. 

 

21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19 백신을 접종한 뒤에 희귀 혈전증(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으로

사망한 30대의 대한 사례를 통해 인과성이 인정되었습니다.

해외에서는 아스트레제네카에 대한 혈전 이상 반응으로 백신 접종을 꺼려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국민백신으로 다양한 연령대에서 접종하고 있습니다. 

 

[1] 30대 희귀혈전증으로 사망 사례  

30대 사망자는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을 접종한 후에 심한 두통과 구토 증상이 나타나

의료기관을 찾아 치료를 받았지만 호전되지 않았습니다. 

긴급하게 상급 병원으로 후송되었지만 사망하였습니다. 

사망자의 치료를 전담한 병원에서는 사망자의 뇌 검사 결과 뇌에 혈전과 출혈이 발생된 것으로 보고

혈소판 희귀혈전증 질환으로 판단하였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희귀 혈전증으로 2명의 사망사례가 발표되었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는 없습니다.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은 일반 혈전증과 다르게 드물게 발생되는 혈전증입니다.

이 혈전증은 혈소판 감소를 통해 뇌나 복부에 생기는 특이한 혈전증으로서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에서 나타는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의사 소견에 따르면,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회복 가능한 질환으로 

확인되어, 접종 이후 몸 상태를 면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코로나19-백신-코로나19백신
백신사진

[2]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 접종해도 될까?

대한민국은 현재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보다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얀센 백신 접종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화이자나 모더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백신 효과가 떨어지지만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소수의 손실은 감수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FDA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코로나19 백신"은 효능과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크기에 자국민에게

접종하지 않고 있으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혈전 문제는 이미 확인된 이슈로

백신 업데이트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대한민국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을 지속적으로 접종할 계획을 가지고 있기에

해외처럼 백신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에 따른 기회를 미루거나 또는 접종 후 셀프 바디 모니터링을 통해서 

부작용을 초기에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점을 보입니다. 

 

★백신 접종 이후 증상 체크 

1) 백신 접종 이후 4주간 셀프 모니터링

2) 두통, 구토, 다리, 몸 붓기, 열 증상 확인하기

3) 호흡곤란 

위에 증상이 있을 경우 의료기관으로 즉시 진료하기 바랍니다. 

 

 

[3] 코로나 치료제 제조는 불가능한 것인가? 

국내와 해외에서도 현재 코로나 19 치료제를  개발 중으로 확인됩니다. 

주사제보다는 체내 흡수가 어려울 수 있지만, 일상 회복을 위한 치료제로서는 기대가 큽니다.

현재 정부는 다국적 제약사 MSD와 먹는 코로나 19 치료제를 구매하고자 협상 중으로 확인되며 

화이자에서도 먹는 치료제를 올해 안에 미국 FDA에서 사용 승인을 받아 미국 전역에 보급할 예정입니다.

국내에서는 향제 치료제 '렉키로나'의 글로벌 임상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항체 주사제와 함께 상호 보완하는 역할로 안정성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